반응형
물타기
물타기는 기본적으로 위험을 내포합니다. 이 위험은 즉흥적으로 이루어질때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계획에 없던 물타기는 손실을 극대화 하니까요. 저는 물타기를 왕왕하는데 이 경우는 진압 전부터 가격이 더 떨어질 수도 있겠다 하는걸 염두에 둔 가격대가 있을때 이고, 실제로 하락한다면 추가로 매수하는 방식 입니다.
써놓고보니 분할 매수로 보여지기는 하네요... 요점은 추가하락이 예상된다면(예상은 못해도 가능성중 하나로 잡고 있다면) 여유자금에 한해서 물타기를 한다는 겁니다.
불타기
반대로 불타기는 잘 하지 않습니다. 자산이 급등하면 오히려 싹 팔아버리죠. 급등은 아니지만 불타기를 해볼만한 타이밍이더라도 원래 나한테 주어진 기회가 아니라 생각하고 들어가지 않습니다. 간혹 불타기를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한데, 이 경우는 종목을 아주 오래전부터 보유하고 있었던 경우입니다. 아주 오래전 부터 가지고 아직 매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매수 지접이 눈에 들어온다면 불타기를 하기도 합니다. 이것도 써놓고 보니 불타기로 보기에는 애매하긴 하네요...
반응형
'은퇴 빨리하기 투자 기록 >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의 재테크] 주식 투자 전략 ④ 직장인의 기업 분석 (5) | 2024.10.29 |
---|---|
[직장인의 재테크] 주식 투자 전략 ③ 직장인의 변곡점 찾는 법 (3) | 2024.10.27 |
[직징인의 재테크] 첫 투자에서 주의해야 할 것 과 잊지 말아야 할 것 (4) | 2024.10.23 |
[직장인의 재테크] 주식 투자 전략 ① 나만의 "두 가지" 투자 기준 (5) | 2024.10.21 |
직장인의 분산투자 (8)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