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투자에서 주의해야할 3가지
1. Buy & 존버 ( 자산은 큰 시계열에서 우상향 한다는 말을 아무 조건 없이 맹신하기 )
첫 투자를 한다면주식은 언젠가 오른다라고 믿으며 매수부터 해서는 안됩니다. 장기 투자는 공부와 경험이 모였을 때 확신으로 하는 투자법이지, 다짐으로 하는게 아닙니다.
2. 물타기 ( 가격이 떨어지면 오히려 좋다며 무조건 웃는 행동 )
장기 투자를 계획하면서 가격이 떨어질 때마다 모아 갈거란느 말도 함께 하고 있지는 않나요? 그렇다면 조심해야 합니다. 하락하는 주식은 바닥이 없을때가 있으니까요.
저도 첫 투자를 할 때 이런 생각으로 투자 했다가 수천만원의 돈이 몇년간 묶여있어 다른 많은 투자 기회를 놓쳤습니다. 그러니 ㅇ여러분의 투자가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3. 잃어도 되는 돈이야 ( 그런돈이 어디있어 )
우리가 투자한 돈은 우리의 시간과 젊음을 대가로 만들어낸 돈 입니다. 그러니 세상에 잃어도 되는 돈이란 없습니다.
첫번째 투자를 하기 전 다시 한번 곱씹을 내용
기관 투자자 에게는 없고 개인 투자자 에게만 있는 강력한 무기가 두가지 있습니다.
- 존버가 가능하다.
- 둘째는 원하는 만큼 현금을 보유할 수 있다.
주식 시장에 참여한 사람 중에 주머니에 현금이 들어 있는 상화을 못 참는 사람을 자주 봅니다. 어떻게든 포지션을 잡기 위해 얼마 되지도 않는 종자돈을 쪼개어 모조리 투자해버리죠. 사실 저도 그랬었습니다. 그렇게 시장이 침체되고 여러 바구니에 나누어 담았다 생각한 계란은 사실은 한 바구니에 색깔이 다른 계란을 여러개 담아둔 거란걸 깨달았고, 다 깨져 파란 비가 내리는 제 주식창을 보고서야 개인 투자자의 무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깨달았습니다.
실제로 경험한 유일하게 된 버는 방법
주식 시장에 몇 안되는 진리 중 하나는 시장에서 수익을 보는 투자자는 극소수라는 것 입니다. 이걸 반대로 생각해 보자면 대중과 다르게 행동해야 돈을 벌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제 경험 상 주변인들과 언론, SNS 등 에서 좋다고 이야기 하는 시점, 종목을 들어갔을때는 항상 손절을 하고 나오거나 아~주 오래동안 물려 투자기회를 잃은 경험 밖에 없습니다. 보수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 조차 남들이 겁먹을대가 욕심을 부릴때라고 했다더군요. 이런 시장에 공포가 찾아 왔는가는 제가 사용하는 전략(지표)중 하나 입니다. 이것 하나만 보는건 아니고 다른 지표와 전략도 고려해서 투자의 기회로 생각되면 상황에 따라 매수 방식을 결정하고 계획하고 투자에 들어갑니다.
분명히 말 할수 있지만 저점에 도달했다는 이유만으로 투자하시면 위험합니다. 이외에도 충분한 분석과 검증, 그리고 따를 계획이 필요하죠. 여론의 생각과 반대로 생각한다고해서 내 선택이 옳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으니까요.
'은퇴 빨리하기 투자 기록 >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의 재테크] 주식 투자 전략 ③ 직장인의 변곡점 찾는 법 (3) | 2024.10.27 |
---|---|
[직장인의 재테크] 주식 투자 전략 ② 물타기와 불타기 (3) | 2024.10.24 |
[직장인의 재테크] 주식 투자 전략 ① 나만의 "두 가지" 투자 기준 (5) | 2024.10.21 |
직장인의 분산투자 (8) | 2024.10.20 |
수익률이 아니라 수익금을 키워라 (5) | 202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