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MAC과 PHY 개념

-. 이더넷에서 OSI 7 Layer(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 과정을 7단계로 나눈 표준.)HW계층은 PHYMAC(Data Link Layer)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성도는 아래 이미지 참고)

-. PHY의 역할 : Physical Interface Transceiver로 물리적 신호(기준 전압에 따라 0~5V등의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 MAC의 역할 : PHY의 물리적 신호를 SW적으로 이해하려면 0이나 1로 변환을 해주어야 하는데, PHY가 받아들인 전기신호를 기준전압으로 판독하여 지금 이 신호가 1인지 0인지를 판독해 위 계층으로 넘겨줍니다.

 

 

2. MAC과 PHY간 정도 전달 방식

1) MII(Medium-Independent Interface)?

-. MACPHY사이에서 서로 정보가 전달되게 만들어주는 방식.

  → 아래 사진과 같은 여러 계의 신호선으로 구성되며 4bit Data bus, 25MHzClock을 갖는다. (10/100Mbit 맞추기 위함)

 

2) GMII(Gigabit Medium-Independent Interface)?

-. MII에 추가 신호선과 더 빠른 클럭을 적용하여 속도를 높인 방식.

  → 아래 사진과 같이 TXD/RXD 각각 8bit 이며,20개의 Pin과 최대 125MHzClock 속도를 갖는다. (1Gbit 맞추기 위함)

 

3) RGMII(Reduced Gigabit Medium-Independent Interface)?

-. GMII에 회로가 간단해진 방식.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도 GMII와 동일하다.

  → 아래 사진과 같이 TXD/RXD 각각 4bit로 줄어들었고,12개의 pin과 최대 125MHzClock 속도를 갖는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