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HDR(High Dynamic Range)?

-. HDR이란 가장 밝은 곳부터 가장 어두운 곳까지, 눈으로 직접 보는 것과 최대한 가깝게 밝기의 범위를 확장하는 기술입니다.

  → 카메라 센서는 기본적으로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을 롱(빛을 많이 받아들임), (빛을 적게 받아들임), 미들(중간 값) 3가지로 나누어 받아들여서 그 중에 골라서 프레임을 짜게 됩다.

예를 들어 아래 사진과 같이 하늘과 땅이 같이 나오는 사진을 찍는다면, 하늘을 기준으로 빛 노출을 잡으면 (하늘의 빛이 강하기 때문에 적게 받아들여야 태양의 형태를 찍을 수 있음)으로 프레임을 짜게 될 것이고, 땅을 기준으로 빛 노출을 잡으면 롱(땅이 모두 보이기 위해선 많은 빛이 들어와야 형태를 찍을 수 있음)으로 프레임을 짜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육안으로 볼 때는 좌측 사진과 보다는 우측 사진과 같이 보일 것인데 이를 위해서 적절한 빛 노출을 받아들이는걸 HDR이라고 합니다.

HDR 설명 예시

 

2. LFM(Led Flicker Modulation)?

-. LED 점멸 주기때문에 영상에서 램프나 전광판이 꺼진것 처럼 보이는 것을 LFM이라고 합니다.

  → 카메라 센서는 기본적으로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을 롱(빛을 많이 받아들임), (빛을 적게 받아들임), 미들(중간 값) 3가지로 나누어 받아들여서 그 중에 골라서 프레임을 짜게 됩니다. LFM을 잡기 위해서는 롱으로 빛을 잡아서 들어온 모든 빛을 가지고 프레임을 짜게 되면 LFM현상을 잡을 수 있습니다.

LFM 설명 예시

 

참고) LFM을 잡게 되면 무조건 롱으로 프레임을 짜야 하는데, 이렇게 될 경우 HDR이 안 좋아지게 된다.

HDR을 잡게 되면 현제 상황에 맞추어 롱과 숏을 적절하게 섞어서 프레임을 짜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LFM이 안 좋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보통은 적정한 중간 값으로 튜닝(ISP업체에 의뢰해서 업체에서 튜닝 진행)을 맞추고 마무리 하게 됩니다. 적용된 반도체 성능에 따라 더 높은 품질의 튜닝도 가능 합다.

 

3. RGB방식과 YUV방식 설명

1) RGB 방

-. 빛의 삼원색(빨강_RED, 초록_GREEN, 파랑_BLUE)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 색을 표현하는 방식 입니다.

2) YUL 방식

-. 밝기값(Y)과 색(UV)을 분리하여 표현한 방식. 위의 이미지와 같은 U-V색평판에서 U,V좌표에 의해 색을 표현하고 여기에 밝기(Y)를 더해서 모든색을 표현한 방식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