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인덕터란?
-. 인덕터는 코일이라고도 불리는 소자로, 단순히 전선을 감아놓은 형상이다. 때문에 직류 회로에서는 저항이 0 이 된다. 하지만 교류 회로의 경우 역기전력의 방향으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1) 역기전
-. 먼저 기전력(Electromotive Force)를 설명해보면, 이름 그대로 전기를 일으키는 힘 입니다. 중/고등학교떄 도넛 모양으로 전선을 감아놓고 그 사이로 자석을 빠르게 넣었다 뻈다를 반복하면 전류가 측정되는 실험을 했던 기억이 있으실 텐데요, 이게 기전력의 하나인 유도기전력(자성체로 만든, 전기를 일으키는 힘)을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그럼 역기전력이란 전기를 일이키는 힘 인데, 코일에 전류를 흘려줘서 반대의 힘을 만드는걸 역기전력이라고 합니다. 수식안쓰고 최대한 쉽고 말로 설명하려니 설명이좀 엉성하네요… 암튼 중요한건 인덕터란 교류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한다는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다른건 구지 모르셔도 되요.
2) 교류에서의 인덕터
-. 위 내용을 조금 더 설명해보자면, 인덕터는 직류(주파수 0)에서는 저항이 0이 된다고 했습니다. 그럼 교류(고주파)와 같이 자기장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방향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이라면? 유도전류와 유도기전력은 그 속도를 따라갈 수 없게 되고 인덕터는 마치 저항처럼 동작하게 될 것입니다. 커패시터와 비교하자면, 커패시터는 직류를 차단하고 교류를 통과시키는 반면 인덕터는 직류를 통과시키고 교류를 차단하게 시키게 됩니다.
2. 인덕터의 용도
1) 필터
-. 앞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인덕터는 직류를 통과시키고 교류는 차단하게 됩니다. 즉, 고주파 필터로 사용될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저항과의 구조에 따라 저주파 필터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건 직류를 통과시키고 교류를 차단한다는 점이지요. 따라서 인덕터를 어디에 달고, 저항을 어디에 달고 그리고 신호를 어디서 읽어가느냐에 따라 저주파 필터인지 고주파 필터인지가 결정되는 것 입니다.
2) 변압
-. 전자기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전원의 전압을 바꾸는 것 입니다. 코일이 같은 철심에 감겨 있을 때 전원측 코일(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키면 바꾸려는측 코일(2차코일)에 이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기전력이(역기전력) 생기게 되고,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Knowledge Du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지스터 1) 개념 및 BJT와 FET의 차이. (0) | 2022.09.02 |
---|---|
다이오드란? : 개념, 역할(또는 종류) (0) | 2022.08.31 |
커패시터 1) 개념 및 특징(또는 용도) (0) | 2022.08.27 |
저항의 역할 : 전류 제한, 전압 분배, 풀업/풀다운, 댐핑저항 (0) | 2022.08.25 |
저항이란? : 개념 및 저항의 종류 (SMD저항, 바리스터)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