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인덕터란?

-. 인덕터는 코일이라고도 불리는 소자로, 단순히 전선을 감아놓은 형상이다. 때문에 직류 회로에서는 저항이 0 이 된다. 하지만 교류 회로의 경우 역기전력의 방향으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1) 역기전

-. 먼저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설명해보면, 이름 그대로 전기를 일으키는 힘 입니다. /고등학교떄 도넛 모양으로 전선을 감아놓고 그 사이로 자석을 빠르게 넣었다 뻈다를 반복하면 전류가 측정되는 실험을 했던 기억이 있으실 텐데요, 이게 기전력의 하나인 유도기전력(자성체로 만든, 전기를 일으키는 힘)을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그럼 역기전력이란 전기를 일이키는 힘 인데, 코일에 전류를 흘려줘서 반대의 힘을 만드는걸 역기전력이라고 합니다. 수식안쓰고 최대한 쉽고 말로 설명하려니 설명이좀 엉성하네요암튼 중요한건 인덕터란 교류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한다는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다른건 구지 모르셔도 되요.

2) 교류에서의 인덕터

-. 위 내용을 조금 더 설명해보자면, 인덕터는 직류(주파수 0)에서는 저항이 0이 된다고 했습니다. 그럼 교류(고주파)와 같이 자기장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방향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이라면? 유도전류와 유도기전력은 그 속도를 따라갈 수 없게 되고 인덕터는 마치 저항처럼 동작하게 될 것입니다. 커패시터와 비교하자면, 커패시터는 직류를 차단하고 교류를 통과시키는 반면 인덕터는 직류를 통과시키고 교류를 차단하게 시키게 됩니다.

 

2. 인덕터의 용도

1) 필터

-. 앞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인덕터는 직류를 통과시키고 교류는 차단하게 됩니다. , 고주파 필터로 사용될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저항과의 구조에 따라 저주파 필터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건 직류를 통과시키고 교류를 차단한다는 점이지요. 따라서 인덕터를 어디에 달고, 저항을 어디에 달고 그리고 신호를 어디서 읽어가느냐에 따라 저주파 필터인지 고주파 필터인지가 결정되는 것 입니다.

2) 변압

-. 전자기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전원의 전압을 바꾸는 것 입니다. 코일이 같은 철심에 감겨 있을 때 전원측 코일(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키면 바꾸려는측 코일(2차코일)에 이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기전력이(역기전력) 생기게 되고,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