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이오드란?
-.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성질(=정류작용)을 가진 반도체 소자입니다.
-.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어려운 내용은 싹 빼고 최대한 쉽게 설명 드리면, N형 반도체는 전하를 옮기는 운반자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에 자유전자가 사용되구요, P형 반도체는 정공이 사용됩니다. 자유전자나 정공이 뭔지 모르시면 그냥 N형 반도체는 전류가 흐르면 +쪽으로 이동하고, P형 반도체는 전류가 흐르면 –쪽으로 이동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순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아래 그림처럼 P형과 N형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P형과 N형의 거리가 멀어져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됩니다.
2. 다이오드의 역
-. 다이오드의 가장 흔한 사용은 과전압(서지 등)으로부터의 소자 보호 역할과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 입니다.
1) 소자 보호
-. 과전압 보호 소자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건 TVS 다이오드 입니다. (TVS_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순간 전압 보호 소자 즉, 과전압/과전류 발생시 MCU 등 주요 소자로 흐르지 않도록 보호하는 소자.
2) 정전압
-.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제너 다이오드는 정전압 다이오드라고도 불리며, 정전압이나 기준전원을 얻기 위해 많이 쓰이는 다이오드 입니다. 일반 다이오드와는 다르게 역방향으로 전압을 걸어 사용합니다. 그 이유를 설명하려니 제너항복이니, 제너다이오드 특성 그래프니 설명할게 많아지고 복잡하게 느껴지실거 같아 그냥 마무리 하겠습니다.
어차피 개발자가 아닌 품질담당자 입장에서 중요한건 TVS 다이오드가 뭐고 뭔역할을 하는지, 제너다이오드가 뭐고 뭔역할을 하는지만 아시면 될거니까요.
'Knowledge Du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지스터 2) 핀치오프 (0) | 2022.09.04 |
---|---|
트랜지스터 1) 개념 및 BJT와 FET의 차이. (0) | 2022.09.02 |
인덕터(코일)란? : 개념 및 용도 (0) | 2022.08.29 |
커패시터 1) 개념 및 특징(또는 용도) (0) | 2022.08.27 |
저항의 역할 : 전류 제한, 전압 분배, 풀업/풀다운, 댐핑저항 (0) | 202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