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하량 : 각 전하들이 갖고 있는 전기적인 양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1. 6.25 * 10^8개의 전하가 운반하는 전하량을 1 [C]이라 정의한다.
  2. 따라서 전자 1개가 가지는 전하량은 1.6 * 10^-9 [C]이다.
  3. 가장 작은 전하량은 전하 1개가 운반하는 전하량이다. (기본 전하량)
  4. 기호 = Q, 단위 = [C]

 

전류 (Current) : 전하의 흐름으로, 크기와 방향을 갖는다.

  1. 전하의 이동은 에너지으 이동과 같다.
  2. 전하 이동의 시간 변화율은 전기의 흐름으로 구성된다.
  3. 전류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다. (+방향에서 -방향으로 흐른다)
  4. 기호 = I,i 단위 = [A]

 

전압 (Voltage) : 전위차를 말하며 상대적인 것이다.

  1. +방향에서 -방향으로 흐른다.
  2. 닫혀있는 회로에서만 전위차를 따라 흐른다.
  3. 전압은 상대적인 것으로 측정된다. 즉, 한점이 5[V] 다른 한점이 3[V]이면 두 점 사이의 전압은 2[V]이다.
  4. 전류의 흐름을 보고 어느쪽 전압이 더 높은지 알 수 있다.
  5. 기호 = V, 단위 = [V]

 

전력 (Power and Energy) : 단위 시간 당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소비하는가를 나타내는 단위

  1. P = V * I [W]
  2. 부호가 같은 전력은 더한다.
  3. Active element : 배터리와 같은 소스원들을 의미하며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특징이 있다. 
    1. independent source = 주변 환경의 영향 없이 일정한 에너지 출력
    2. dependent source =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에너지 출력
  4. Passive element : R, L, C와 같이 에너지를 공급받는 소자
  5. 기호 = P, 단위 = [W]

2022.08.22 - [자동차 산업 직장생활/전기전자 기초] - 기초전자용어 : 전류, 전압, 저항(컨덕턴스 + 임피던스)

 

기초전자용어 : 전류, 전압, 저항(컨덕턴스 + 임피던스)

1. 전압이란? -. 보통 전류, 전압, 저항을 설명할때 물의 흐름으로 설명을 많이 합니다. 물의 높이 = 전압 / 물 = 전류 / 물레방아 = 저항 식으로요. -. 일단 물이 흘러야 되니까 전압부터 설명을 하자

p-backup.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