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는 컴퓨터, 기타 신호처리장치(Microprocesso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에 사용하는 데이터와 명령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도 있다.
반도체 메모리(IC Memory)는 바둑판 모양으로 배열된 메모리셀(Memory Cell)로 구성되며 셀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하여 2진부호로 된 주소(address)를 사용한다.
1. 메모리의 구조
메모리는 2진 데이터를 워드라는 비트의 집합으로 저장한다. 즉, 워드 메모리에서 입출력시 한번에 전송되는 비트들을 의미한다. 메모리 워드는 0과 1의 조합으로 숫자하나, 명령코드 하나, 영문자 하나 이상 또는 그 외의 2진화된 정보를 나타낸다.
메모리와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제어신호 2개와 외부 레지스터 2개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제어신호는 데이터 전송 바향을 결정한다. 두 외부 레지스터 중에서 하나는 메모리에 있는 특정한 메모리 레지스터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또 하나는 메모리 워드의 2진비트 구성을 나타낸다.

- 읽기제어신호 (Read Control Signal) :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으라는 명령
- 쓰기제어신호 (Write Control Signal) :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라는 명령
- MAR (Memory Address Register) : 메모리에 있는 특정한 워드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경우, 해당 워드의 주소가 MAR에 전송된다.
- MBR(Memory Buffer Register) : 레지스터와 외부장치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통로
특정 워드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려면 해당 워드의 주소를 MAR에 전송해야 하며, 메모리의 내부 회로가 이 주소를 입력받아 주소가 지시하는 워드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열어 놓는다.
2. 메모리의 동작
1) 메모리 읽기동작
MAR이 지정하는 주소의 메모리 내용을 읽는(Read)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선택된 워드의 주소를 MAR로 전송한다.
- 읽기 제어 신호를 동작시킨다.
즉, MAR이 가리키는 address의 데이터값을 읽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을때 MBR로 전송한다.
2) 메모리 쓰기 동작
MAR이 지정하는 주소의 메모리에 새 데이터를 저장(Wirte)하는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지정된 메모리의 주소를 MAR로 전송한다.
- 저장하려는 데이터 비트를 MBR로 전송한다.
- 스기제어신호를 동작시킨다.
즉, MAR이 가리키는 address에 쓰기 제어 신호가 동작하면 MBR의 데이터 값을 입력한다.
'Knowledge Du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와 주변 장치 동작 설명 (0) | 2024.11.15 |
---|---|
메모리 개념 잡기 2. 메모리의 분류 (0) | 2024.11.13 |
(범용) 시프트 레지스터 (Universal Shift Register) - 직렬 병렬 변환기 (0) | 2024.11.04 |
형상관리 - (2) 형상관리 툴 설명 (Git, SVN) (0) | 2024.02.27 |
형상관리 - (1) 개요 (0) | 2024.02.26 |